중국대륙의 남부 귀주성의 소수민족인 묘족의 ("발렌타인데이"라 불릴만한) "자매절축제"를 즐기고

계림산수와 귀주성의 소수민족마을로의 특별한 문화기행을 하는 여행이 있어 동참 하였다..

사진으로만 보았던 묘족의 자매절축제와 잘 갖춰 입은 특이한 의상과 춤, 그리고 산골짜기에 자리잡은

소수민족의 특별한 생활과 멋진 가무. 풍습, 그리고 속살을 쬐끔만 맛보고 왔던 여행이었다..

자타가 공인하는 나름 중국전문가인 최종명 작가의 인솔하에 아픔은 쬐끔 있었지만 무사히 잘 다녀오고

사진거리가 없어 조금은 아쉬웠던 여행...

 

 

 

 

4월8일 인천 출발~상해~귀양(1), 4월9일 서강천호묘채(1), 4월10일 하사고진(1), 4월11일 시동진(1), 4월12일 진원고진(1)

4월13일 조흥동채(1), 4월14일 평안촌(1), 4월15일 계림 양삭(1), 4월16일 청암고진(1), 4월17일 상해(1), 4월18일 인천~충주,

 

 

 

1, 서강천호묘채(西江이라는 동네에 苗族이 천여채의 집을 짓고 살아가는 동네)

인천에서 상해를 거쳐 귀주성의 성도인 '귀양(貴陽)'에서 하루를 자고

아침일찍 출발하여 도착한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

귀주성에서도 오지의 동네라서 예전부터 내려오는 묘족의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하여 요즈음 각광을 받는다고..

 

4월 8일 아침  충주출발....
안개가 적당히 끼어있는 도로를 버스는 별일 없다는 듯 잘 달리고 서서히 안개는 걷히지만 안갠지 미세먼지인지 모르는

희끄무레한 풍경은 별로다..
업장은 약간의 회복세인데 더 열심히 해서 궤도에 올려야 하는데

여행과 사진이 나를 자꾸만 밖으로 내몰고, 나는 못 이기는척 몸과 마음을 움직인다...

전에는 충주에서 인천공항까지 가는 직통이 없었는데 이번에 버스를 알아보는 중에

충주에서 인천공항까지 직통이 생기고 게다가 시간도 단축..
더구나  하루에 5번에서 8번으로 증편..한가지 아쉬운거는 우등만 있어서 요금이 2만원으로 올랐다는 점~
암튼 7시20분 버스를 타고 인천공항으로 고고씽....
9시에 인천대교를 건너는데 안개가 꽤 보인다..
비행기가 뜰수 있을까 은근 걱정이다. .
10시반에 일행 만나고...숙제로 탄력크림 사주고..
12시55분발 뱅기가 결국 오후 2시반에 이륙...


구름이 잔뜩 낀상공을 한참 날아서 중국시간 3시반경에 상해 푸동공항에 도착...
부리나케 입국심사하고 환승하고 이제 4시45분 비행기로 귀주성의 성도인 귀양으로 간다...

약3시간 소요 예정..
6시반 경에...비행기는 귀양을 향하여 신나게 구름 위를 달린다...
계속 이어지는 갖가지 구름 보면서 이루마의 "키스 더 레인"을 듣는다...

저녁빛을 받아 가끔 빛내림도 보여주고 솜이불은 끝도없이 널리고..
이런 호사를 또 언제 누리랴~~하는 생각에 멍~해진다...
비행기는 해를 쫒아서 서쪽으로 서쪽으로  달린다..
하얀구름은 끝없이 이어지고 땅바닥은 절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요즘 이곳 날씨가 비의 연속이라더니~~
3시간 정도를 날아서 7시30분에 귀양공항에 도착..어둠이 깔려있다..

공항인근의 호텔로 잠시 걸어서 방 잡고...바로 나와서 근처 식당에서 중국도착을 알리는 신고식....한잔..

저 아래에는 호수도 보이고, 강도 보이고, 구름이 예술이다..

 

'귀양'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빛내림을 보고 사진..

 

 

귀양공항의 모습...인근호텔에서 한장..

 

9일 아침 7시에 호텔2층에서 아침식사....
8시에 서강천호묘채를 향하여 출발...3시간 정도 소요예상 한단다..
9시에 '황시'라는 풍우교가 있는 예쁜 마을을 지나고..
9시20분에 마강휴게소에서 쉬었다가
10시경에 '개리'市 근처를 지나고...

 

 

산골짜기 마다 그림같고 편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오동나무 비슷한 나무이고 꽃도 비슷한데 색이 흰색이고 지천에 널려있다..

 


11시경에 '서강천호묘채'에 도착...

 

 

지도 : 최종명씨 제공..

 

 

입장권을 끊는 광장 입구에서부터 묘족의 전통의상을 입은 사람들의 흥을 돋우는 가벼운 춤과 함께 관광객들과 사진..

그리고 얘네들 전통의 술을 따라주고(물론 공짜로...^^)...

이렇게 분위기를 Up 시킨후에 입장....

 

광장에서부터 동네사람들로 구성된 무희팀이 음악에 맞춰 몸을 움직이면서 소리를 웅얼 거린다..

 

 

묘족의 전통복장과 장식으로 그네들의 존재감을 나타내고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보여주고..

 

 

서강천호묘채의 입구...

 

 

표를 내고 들어가니 전통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집들과 풍경들이 눈에 들어오고 나는 사진을 찍고..

 

 

마을사람이 식재료를 다듬고 말리고 있다..

 

 

작은 골짜기에 1,000여채의 집을 지으려니 달동네가 되었고...

관광객이 넘쳐나니 숙소도 지어야 하고, 점점 더 골짜기로 올라간다..

 

 

 

김철호 가이드 말로는 지금은 비수기라서 관중이 적은거라는데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이리저리 휩쓸리며

묘족전통의 춤과 노래를 보여주는 공연을 보고...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의 민속공연모습..비수기 라는데도 말그대로 만원이었다..

 

 

 

예쁜 공연팀의 열정적인 모습..

 

 

술을 권하는 권주가...

 

 

고산류수(高山流水)라는 이름이 붙은 ...  술을 따르는 모습...

높은 산에서 물이 흐르는 것처럼...끊임없이 술이 입으로 들어온다....

술이 한국의 맑은술처럼 맑고, 부드럽고, 독하지 않다...

 

 

 


12시경에 공연장 근처의 한 식당에서 점심식사..

高山流水라는 특유의 술 따르는 풍경도 연출(따로 돈을 받는 곳도 있고, 서비스로 해 주는 곳도 있단다..)

하면서 술을 곁들인 맛난 점심을 먹고 걸어서 구경하면서 관내에 있는 객잔으로..

 

동료가 찍어 준 인증샷...

 

 

 

그 식당의 분위기 ...

 

 

 

객잔에 짐을 풀고 잠시 쉬다가.. 
2시에 나가서 다같이 나가서 농구골대가 있는 동네광장에서 골목길을 따라서 위로 올라 가면서 사진 찍으며

동네사람들 사는것도 보고, 예전에 이곳 꼭대기에 사는 사람들의 집들 대부분이 객잔(민박)으로 변하고,

공방으로 변하고, 찻집으로, 또 식당으로 변하고, 동네는 계속 새로운 손님맞이 건물로 변화와 공사가 계속된다...

동네 노인들은 동네 어귀에 모여 잡담과 담배, 그리고 지나가는 사람들 쳐다보면서 나름 옛날 얘기를 하면서 시간 보낸다..

 

동네 골목길에 우산으로 장식...

 

 

뭔가 모택동을 찬양하는 글 같은데....찢어진 우산 그림자랑 대비가 되어서 한장...

요즘 젊은이들이 모택동을 알까???

 

 

미루객잔...광고글과 그림..

 

 

산등성이에 있는 집을 향해서 말을 몰고 올라간다..

 

 

동네 노인들의 쉼터...

 

 

 

 

예전 묘왕이 있었다는 건물(??)...북을 보관해 놓은 집이라는 '고장당'이라는 이름이..

 

고장당 건물 앞의 돌로 된 부조...커다란 북이 보인다..

 

 

동네의 모습..

 

 

 

나와 임교수는 따로 사진 찍으면서 동네를 이리저리 다니며 사진찍고..
농구장 근처 광장에 남녀노인 수십명이 모여 서로 마주보면서 얘기와 술잔 기울이기 등등..
관광객들을 위한 공연아닌 공연을 하면서 손님들에게 술잔도 권하고 다른 옆에서는 할머니들이 모여서
묘족전통의 수를 놓으면서 관광객에게 볼거리를..또 제공한다..

 

임교수님...

 

 

동네 광장에서 노인들의 잔치..

 

 

 

 

동네 노인들의 한가한 모습..

 

 

편안하고 평화로운 노인의 웃음..

 

 

할머니가 실을 바늘에 ...

 


풍우교를 지나면서 개울가로 가서 풍우교 세군데의 반영도 찍고 천천히 동네를 훑으면서 사진 찍다가 5시경에 다시 객잔...

 

이 동네에서 가장 큰 풍우교..

 

또 다른 멀리 있는 풍우교...쫙~~~ 떙겨서..

 

 

또 다른 풍우교..

 

 

많은 집들의 지붕에는 이러한 장식을 했다...

그리고 바람이 많지 않은 동네라서 그런지 튼튼해 보이지는 않다..

 


원래 오늘아침 날씨예보는 11시경에 비가 온다고 했는데 비는 커녕 넘넘 더운날씨에 객잔에 오자마자 샤워를 하니 살것 같다..
그리고 5시반에 객잔 근처 식당에서 '산탕어(酸湯魚)'라는 이곳 묘족의 전통요리를 주제로 한 식사와

오늘 7순을 맞이 했다는 임교수님의 축하 파티를 곁들여 케익과 축하노래...

 

초가 한자루 비었다...^^

 

 

고산류수(高山流水)...

 

 

이곳 묘족의 전통술(한국의 전통 맑은 술과 비슷)을 여러잔 하면서 맛있는 저녁 먹고 다같이 전망대 가서 야경 사진찍고

또 나는 임교수와 다시 풍우교로 가서 야경반영사진 찍고 9시경에 객잔으로 와서 쉰다...

 

 

전망대에서 본 서강천호묘채의 야경....달도 보이고..

 

 

 

 

 

 

 

 

 

 

 

 

 

 

 

10일(월) 아침에 일찍 깨어 뒤척이다가 7시반에 객잔에서 나와 쌀국수로 간단아침 먹고 걸어서 서강천호묘채 동네를 나와

우리 버스를 타고 태강현으로 이동하여 10시경부터 시작한다는 자매절축제를 본단다..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전경사진...아침에 파노라마로 찍었다..

 

 

 

서강천호묘채를 나오면서 동네 개울에서 한장...

이제 태강현으로 고고..

 

 

 

 

 

 

중국대륙의 남부 귀주성의 소수민족인 묘족의 ("발렌타인데이"라 불릴만한) "자매절축제"를 즐기고

계림산수와 귀주성의 소수민족마을로의 특별한 문화기행을 하는 여행이 있어 동참 하였다..

사진으로만 보았던 묘족의 자매절축제와 잘 갖춰 입은 특이한 의상과 춤, 그리고 산골짜기에 자리잡은

소수민족의 특별한 생활과 멋진 가무. 풍습, 그리고 속살을 쬐끔만 맛보고 왔던 여행이었다..

자타가 공인하는 나름 중국전문가인 최종명 작가의 인솔하에 아픔은 쬐끔 있었지만 무사히 잘 다녀오고

사진거리가 없어 조금은 아쉬웠던 여행...

 

 

 

 

4월8일 인천 출발~상해~귀양(1), 4월9일 서강천호묘채(1), 4월10일 하사고진(1), 4월11일 시동진(1), 4월12일 진원고진(1)

4월13일 조흥동채(1), 4월14일 평안촌(1), 4월15일 계림 양삭(1), 4월16일 청암고진(1), 4월17일 상해(1), 4월18일 인천~충주,

 

 

 

 

 

 

1, 서강천호묘채(西江이라는 동네에 苗族이 천여채의 집을 짓고 살아가는 동네)

인천에서 상해를 거쳐 귀주성의 성도인 '귀양(貴陽)'에서 하루를 자고

아침일찍 출발하여 도착한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

귀주성에서도 오지의 동네라서 예전부터 내려오는 묘족의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하여 요즈음 각광을 받는다고..

 

 

'귀양'으로 가는 비행기 안에서....  빛내림을 보고 사진..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전경사진...아침에 파노라마로 찍었다..

 

 

이 동네에서 가장 큰 풍우교..

 

 

동네 골목길에 우산으로 장식...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의 민속공연모습..

 

 

고산류수(高山流水)라는 이름이 붙은 ...  술을 따르는 모습...

높은 산에서 물이 흐르는 것처럼...끊임없이 술이 입으로 들어온다....

술이 한국의 맑은술처럼 맑고 부드럽고 독하지 않다...

 

 

서강천호묘채(西江千戶苗寨)..동네 노인들의 한가한 모습..

 

 

 

2, 태강현(台江縣) 자매절축제(姉妹節祝祭), 하사고진(下司古鎭)

 

자매절축제의 하일라이트인 태강현의 자매절축제 행사...

 

음력 3월15일경에 열리는자매절은 중국 귀주성의 묘족 사람들에게 전해지는 전통 명절로 연인절이라 불리기도 한다.

 먼 옛날 겨우내 마을을 떠나 사냥에 나가야 했던 남자들을 그리워했다는 묘족 여인들.

외로움에 지친 여인들은 남자들이 돌아오는 봄이 오면 오색빛깔의 밥과 술을 준비하고 아름답게 치장한 후

돌아온 이들을 환영하며 며칠 동안 축제를 즐겼다. 그리고 축제의 끝, 서로에게 마음을 전했다는데...

바로 그 풍속이 자매절의 기원이다.

 여전히 묘족의 여인들은 자매절을 통해 평생의 짝을 찾고, 가족을 만들고, 전통을 이어나간다고....

 

각 동네를 대표하는 팀들이 나와 대오를 이뤄 행진을 하는데..

참가 인원만 천명이 넘을 듯 하다..

중국의 여러 각지에서 관광객이 수만명은 족히 될것 같고,

사진가들이 떼로 몰려 온 듯....고급기종의 카메라들이 즐비하였다...

 

 

 

 

이렇게 묘족전통의 옷에 동네마다 다른 장식을 달고 동네별로 행진을 한다..

 

 

옷모양과 모자, 수놓은 모습들이 약간씩 다르다..

 

 

관광객들도 넘넘 많다..

 

 

 

 

가장행렬이 끝나고 나름대로 인증샷을 날리고 있는 어느 처자...

 

 

 

 

그리고 찾아간 하사고진(下司古鎭) 이라는 오래된 동네..

 

 

3, 마당혁채(麻塘革寨, 혁가족들이 사는 마당이라는 작은 동네), 노둔향(老屯鄕)의 자매절축제.

묘족들과 비슷하지만 자기네들은 묘족이 아니라고 우겨서 최근에 '혁가족'이 되었다는 마을로..

 

특이한 커다란 바위 위에 정자 하나가 우뚝~~~

 

 

혁가족 마을에서 본 인자해 보이고 여유로워 보이는 노인..

 

 

혁가족들의 공연...동네 사람들이 얼마간의 돈을 받고 공연을 한다..

 

 

이 동네에 남아있는 유일한 처녀란다...다들 도시로 진출??

 

 

 

 

찍어준 사진을 보고 즐거워하는 마을 사람..

 

그리고 찾아간 노둔향(老屯鄕)의 자매절축제...노둔향이 "자매절축제"의 발원지라고 한다고..

 

 

손가락에 까지 장식을 떡!!!!

 

 

혼자서 입기가 많이 불편하여 이렇게 식구(대개 모친)들이 옷을 입혀 준다..

 

 

 

4, 시동진(施洞鎭) 자매절축제..

 

 

시동진(施洞鎭)의 구름다리...보행자 전용..

 

 

 

 

시동진의 어느 작은 마을에서 본 집 입구의 장식...

봉황과 용으로 복(福)이라는 글자를 조각 하였다..

 

 

 

 

카메라맨들이 제일 많이 따라 다녔던 미모의 여성..

 

 

얘도 손가락에 은장식..

 

 

이렇게 술도 대접하고...

 

오방색으로 쌀밥을 지어 대접하고..

 

 

축제가 끝나고 기념촬영...

이 시동진이라는 마을이 자매절축제를 가장 제대로 하여 외부인들에게 술과 밥을 준단다..

나도 한번 먹어보니 찹쌀로 밥을 지어 맛이 굿~~~

 

 

 

 

5, 진원고진(鎭遠古鎭).

 

228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마을로 송나라 (1258년)부터 진원고성이라고 불렀다고..

하천을 끼고 발달한 고성으로 고풍스러운 건축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골목 골목 예쁜 집들도 많고 돌로 된 담벼락도 예쁘고...

밤에 골목을 아름답게 하는 조명도 더 예쁘고...

하지만 고건물에 설치한 조명은 색깔이 너무 유치하다...

 

석병산을 오르면서 본 진원고진의 시내..

 

 

 

 

축성루(祝聖樓)...

 

 

만수궁(萬壽宮)이라고 이름붙은 건축물...

 

 

사정방항(사정방이라는 샘)이 있는 골목의 항구....^^

 

 

 

 

골목마다 이렇게 조명을 하여 운치를 더 해준다..

 

 

 

축성루와 만수궁의 조명....너무 유치 하다는..그것도 20초마다 색깔이 바뀐다...

유럽처럼 고상하게 하나의 색깔로 해도 좋으련만..

 

 

6, 조흥동채(肇興동寨, '동족'이라는 소수민족이 사는 조흥이라는 동네)

조흥동채는 인,의,예,지,신 이름이 붙은 다섯개의 고루로 유명한 마을로...

이 5개의 누각은 이를테면 이 마을의 공동체인 사랑방 이다.

 

조흥동채로 가는 고속도로에서 찍은 어느 마을...예쁘다..

 

 

전망대에서 바라 본 조흥동채의 마을 전경...

 

 

전망대에서 본 이튿날 아침 일출모습..

 

 

5개의 고루 중에서 제일 위쪽에 있으며 크기는 작지만 옆에 있는 풍우교와 잘 어울려 제일 멋진 "인(仁)" 고루

 

 

새벽 안개에 분위기 있는 경치를 보여준다...

 

 

어느 풍우교에서 만난 인근 동네 노인들..

 

 

"지(智)고루를 배경으로 한 동족 민속공연...

 

 

호텔에서 바라 본 조흥동채 야경...

 

 

 

"신(信)"고루의 야경..

 

 

 

7, 평안촌(平安村)..용척제전과 평안제전..

중국은 땅이 넓어서 다락논(제전)이 꽤 여러개 있지만 요즈음 뜨는 곳이 이번에 들른

평안촌에 있는 용척제전과 평안제전이다...규모는 웬양제전에 미치지 못하지만 예쁘다...

 

조흥동채에서 평안촌으로 가는 길은 4시간 내내 이런 강변으로 된 길을 갔다...

예쁘긴 했지만 2시간 정도는 보수가 안된 아스팔트..차라리 비포장이 더 좋다..^^

 

 

평안촌의 전경....파노라마가 션 찮아서 아래가 짤렸다...

왜냐구요????  사연이 있습니다..(렌즈 강탈사건...^^)

 

 

새벽안개에 이끌려 올라가 찍은 사진...

 

 

이른바 "용척제전(龍脊梯田)"이라는 이름이 붙게 한 바로 이 사진...

용(龍)의 허리 뼈를 닮았다나.....용을 보지도 못했으면서 이름은 잘 붙인다....^^

 

 

 

 

이렇게 물을 위에서 아래로 한참을 내려 보낸다..

 

 

 

 

 

 

칠성반월(七星伴月)이라는 이름이 붙은 곳...

각 논들의 꼭대기가 7개가 된다나.....

 

8, 계림 양삭(陽朔)

"계림산수갑천하(桂林山水甲天下)"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유명한 계림...

그 중에서도 양삭의 풍경이 제일 이라고...

게다가 보너스로 장예모 감독의 유명한 "인상유삼저"공연도 보고..

 

상공산(相公山)에서 바라 본 흥평(興平)마을의 평화로운 모습...

 

 

 

 

상공산에서 양삭으로 가는 어느 마을..

 

 

양삭의 "우룡하(遇龍河)" 대나무 뗏목 유람 중...

 

 

장예모 감독의 "인상유삼저(印象劉三姐, 류씨 집안의 셋째 딸 이야기)" 공연...

리강 위에서 직접 펼치는 실경공연이다...

 

 

 

 

양삭에서 '귀양'으로 가는 고속열차를 타러 가는 도중의 풍경...

 

 

 

 

 

고속열차안에서 본 풍경..

 

 

9, 청암고진(靑岩古鎭)..

청암고진은 귀양 시내에서 남쪽으로 29km 정도에 위치하고

푸른 돌을 사용해서 지었다고 하여 '청암()'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명나라 초인 1378년에 건설한 군사요지로 주둔군의 보급창으로 사용되었으며,

윈난[]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상업중심지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요새인 샘이다.

그리고 AAAAA(A가 무려 다섯개)인 풍경구....

A가 4개만 되어도 무조건 보라던 어느 분의 말이 생각 나는데 무려 5개다...

사방으로 4개의 대문이 있고 성벽도 있다....방어 시설을 갖춘 요새 이므로....^^

 

 

 

 

동문(東門)의 야경....안과 밖에서 찍은 사진...

 

 

남문에서 바라본 서문 밖의 성벽..

 

 

보이는 성문은 서문(西門)...

 

 

 

 

봄비에 떨어진 꽃잎으로 꽃길이 된 예쁜 골목...

 

 

봄비가 만든 그 예쁜 꽃길이 아침에 너무나도 깨끗하게 쓸었다...ㅠㅠ

 

 

 

'귀양(貴陽)' 시내의 관광대표인 갑수루(甲秀樓)..

 

그리고 밤에 상해를 거쳐 하룻밤을 상해에서 자고 인천으로...

 


2015년 11월 2일 마다가스카르의 모론다바 바오밥거리에서 촬영..

"바오밥 거리의 풍경"으로 입선..



요즘 호암체육관의 보수공사로 인하여 6월말까지 운동을 못하여

아침마다 카메라를 메고 호암지를 돈다...

햇살좋은 날에는 꽃들도 기분이 좋은지 표정도 좋고 좋은 氣를 더 많이 내 뿜는것 같다..

이 좋은 호암지가 있어 충주가 더 살아 있는 느낌이다..














2016년 4월 8일 모로코, '아이트 벤 하두'에서 촬영..

"보물창고"로 입선..



"농촌소경"으로 입선..

2015년 11월 1일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어느 길가..


"화려한 외출"로 입선..

2015년 9월 13일 안산 국제다문화 의상 촬영대회에서 촬영..



"사하라의 귀로"로 입선

2016년 4월 6일 모로코의 사하라 사막에서 촬영..



"카스바의 여인"으로 입선..

2016년 4월 8일 모로코 '아이트 벤 하두'에서 촬영..



'가족'이라는 제목으로....

상패와 부상으로 순금1돈짜리 뺏지...


이 사진은 '에티오피아' 남부의 '이르가알렘' 이라는 지역에서 2016년 11월 6일 오후에

숙소 인근 마을 다니면서 어느 현지인 집에 들러 '커피세레모니' 준비중에 우리가 나눠준 사탕을 가족이 먹는 장면 입니다..



죽변 등대..









그리고 영주 무섬마을..

윤세섭회장,,


남원장,


김창욱, 김형수, 심원장, 남원장.




뭘 보는건지..







+ Recent posts